
마침내 미국증시가 미쳐버렸다.
하루아침에 나스닥이 무려 13%씩이나 상승하는 말도 안되는 일이 일어났다.
DOGE로 정부 지출을 줄이고,
관세로 정부 수입을 늘리고,
관세로 증시에 위기감을 조성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를 이끌어내어 채권으로 돈을 몰아
장기채 금리를 낮추는 방식으로 정부 지출을 줄이려던 트럼프의 계획이 크게 빗나갔기 때문이다.
미국채 최대 보유국인 일본이 그랬는지, 중국이 그랬는지, 아니면 헤지펀드들이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미국채를 엄청나게 내다 팔았고 그 결과 미국 장기채 금리가 급등했다.
3.9%에서 4.4%까지 상승하는데 겨우 4일 걸렸다.
일각에서는 채권에 대한 마진콜위험까지 발생했다는 소문도 있을 정도다.
이에 트럼프도 채권 금리변동에 위기감을 느꼈던 것 같다.
뜬금없이 트윗에 주식을 사라는 메시지를 올리고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해주겠다는 발표를 했다.
단, 중국에는 오히려 더 높은 보복의 보복관세를 매겼다.
이 소식에 관세로 인해 빠졌던 나스닥이 13%씩이나 상승했다.
나스닥의 상승으로
QLD는 20%
TQQQ는 30%나 올랐다.
계획대로 매수했던 QLD와 TQQQ무한매수가 모두 수익이 났다.
QLD는 처음에 -20%에 전액을 매수했어야 했는데,
달러가 없다는 핑계로 분할매수를 하는 바람에 위기감을 느껴
1차매수 후에 -25%, -30%로 분산매수하는 방식으로 전략을 수정했었다.
이 전략 수정때문에 매수를 충분히 하지 못한 상태로 주가가 급등해 아쉽다.
공포에 휩싸이기 전에 세웠던 계획을 그대로 따랐어야 했나보다.
그래도 TQQQ 무한매수는 10%이상 수익시 익절하는 조건에 도달했다.
(개장 전에는 +18%였지만, 개장하면서 나스닥이 꽤 빠졌다)

4월 4일에 시작했던 TQQQ 무한매수법은 일주일만에 수익점인 10%를 넘겨 전량 매도했다.
기간이 짧은만큼 투자금도 적게 들어가 약 12만원의 수익을 남겼다.
이제는 채권 이야기를 해보자.

10년물 국채금리는 3.9에서 순식간에 4.4를 넘었다가, 트럼프의 관세유예발표 이후로 4.34까지 내려왔다.

30년물 국채금리도 4.4에서 4.9를 넘었다가 4.8으로 내려왔다.
예전에 10년물 금리가 4.5를 넘었을때, 보유중인 GOVZ를 일부 팔고 TMF를 매수했었다가
10년물 금리가 3.9까지 하락했을때 약 22% 수익을 보고 매도했었다.
금리 하락기가 오면 채권가격이 상승한다는 단순한 논리만 믿고 장기채일수록 수익이 더 크게 난다며 구매했던
GOVZ가 꽤나 많이 있는데, 장기채 금리가 충분히 오르기 전에 구매해서 꽤나 크게 손실중에 있다.
GOVZ의 채권 듀레이션은 약 26년으로 30년물 금리와 주로 연동되는 것 같다.
많이들 투자하는 TLT의 듀레이션은 약 16년으로, 10년물 채권금리를 보면 얼추 맞을것이다.

최근에는 10년물 금리는 하락해도 30년물 금리는 크게 하락하지 않는 추세인 것 같다.
1월 26일, 약 0.226% 차이나던 10년물 - 30년물 스프레드는

4월 11일 현재 0.47까지 벌어졌다.
GOVZ를 투자중인 나로서는 썩 좋지 않은 상황이다.
배당을 계속 받으며 장기채금리가 하락할때까지 버텨도 괜찮겠지만,
장기채 금리가 계속해서 오른다면 단기적으로 TMF 거래를 통해서 손해를 조금이라도 만회해보려고 한다.
10년물 금리 4.5% 도달시, GOVZ 보유량 10%를 매도 후 TMF를 매수하고
0.1%씩 금리가 오를때 마다 GOVZ 보유량의 10%를 TMF로 추가 매수하겠다.
그리고 10년물 금리가 4 이하로 떨어지면 TMF는 전량 수익실현 하겠다.
'미국주식 > 매매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디어 수익실현! TQQQ 무한매수 종료 (0) | 2025.07.06 |
---|---|
너무 성급했던 QLD 익절과 무한매수, GOVZ, TMF 거래근황 (0) | 2025.06.07 |
미국증시 대폭락! 기회인가? QLD 1차 매수와 계획 변경 (3) | 2025.04.07 |
트럼프가 준 기회? 고점에서 20% 내려온 마이크로소프트(MSFT) 매수 검토 (0) | 2025.04.05 |
트럼프가 투하한 폭탄! 나스닥 고점대비 15% 하락한 시점 앞으로의 매수 계획은? (역대 나스닥 하락폭 첨부) (4) | 2025.04.03 |